|
새로 담근 김치는 익으면서 국물이 나오기 때문에 김치 통의 3분의 1 정도 공간을 남겨놓고 담는 게 좋다. 깨끗이 씻은 달걀 껍데기를 얇은 천에 싸서 김치통에 넣어두면 탄산칼슘이 젖산을 중화해 김치가 빨리 시지 않게 해준다 김치를 보관할 때 달걀 껍데기를 용기 바닥에 깔아주면 김치가 빨리 시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조개껍데기를 깨끗이 씻어 신 김치에 반나절가량 넣어두면 신맛이 어느 정도 사라진다. 지나치게 신 김치에는 포기당 달걀 2개를 파묻어 둔 뒤 12시간 쯤 후에 꺼내면 김치의 신맛이 제법 줄어든다 먹다 남은 맥주나 청주는 버리지 말고 그릇이나 접시를 닦는데 이용하면 기름기가 쉽게 없어진다 시들해진 나물들을 잘게 썰어 달걀을 풀어 섞은 뒤 찬밥과 밀가루 등을 넣어 프라이팬에 무쳐내면 멋진 겨울 별식이 된다 먹다 남은 카레를 데울 때 토마토 주스를 약간 넣고 끓이면 산뜻한 맛이 살아난다 먹다 남은 카레를 다시 끓일 때 물 대신 우유나 요구르트를 넣으면 맛이 더 좋아진다. 과자나 소금이 눅눅해졌을 때 전자레인지에 넣고 1~2분 정도 데우면 제법 바삭바삭해진다. 동치미를 만들 때 탄산수를 섞어주면 무가 아삭해지고 톡 쏘는 맛이 더해져 식감이 살아난다 딱딱하게 굳은 설탕이 들어 있는 용기 안에 식빵 조각을 넣어두면, 설탕이 부드럽게 풀어지는 데 제법 효과가 있다. 굳어버린 설탕은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잠시 놓아 수분을 없앤 뒤 손으로 부수면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식빵이 말라서 딱딱해졌을 때는 새 식빵 사이에 끼워 놓으면 다시 촉촉해진다. 컵케이크 등의 빵을 보관할 때 상자 안에 사과 반쪽을 함께 넣어두면 빵이 빨리 마르지 않는다.
|
'리빙 포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빙 포인트 <184> (0) | 2019.04.27 |
---|---|
리빙 포인트 <183> (0) | 2019.04.27 |
리빙 포인트 <181> (0) | 2019.04.13 |
리빙 포인트 <180> (0) | 2019.04.13 |
리빙 포인트 <179> (0) | 2019.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