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바람 부는데… 등산의류 이렇게 입어라
야외활동에서 만나는 찬 공기와 비, 바람은 체온을 떨어뜨려 위험한 상황에 빠뜨리기도 한다.
이런 외부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용도와 목적에 맞는 옷을 준비해야 한다.
신체의 상태를 가장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는 등산의류 착용법을 알아보자.
◆두꺼운 점퍼만 의지하는 건 금물
겨울 산행에서 보온성이 뛰어난 두꺼운 점퍼 하나로 추위를 이기겠다는 생각은 금물이다.
달라진 조건에 따라 옷을 하나씩 벗거나 입으면서 신체 컨디션을 조절해야 하는데 점퍼 하나로는 변화된 상황에 대처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코오롱등산학교 원종민 강사는 "특히 기상 변화가 심한 산행에서는 얇은 옷을 여러 겹 착용할 때 체온을 가장 잘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산행 단계에 맞춰 등산복 착용에 변화를 주는 지혜가 필요하다.
우선 산을 오를 때는 땀과 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겉옷을 입지 않는 것이 좋다.
출발하기 전에 춥다고 해서 겉옷을 잔뜩 껴입으면 산행 중에 발생하는 땀으로 속옷이 젖게 되고 여기서 운행을 중지하면 추위를 더 많이
느끼고 젖은 옷은 쉽게 마르지 않는다.
대신 중간에 휴식을 취할 때나 산행을 중지했을 때에는 겉옷이나 다운 재킷을 입어서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눈이 내릴 때는 방풍·방수의 겉옷을 하나 더 입어 신체를 보호해 준다.
◆흡습·보온·방풍 등 3단계로 착용
등산의류는 등반시 접할 수 있는 각 상황에 맞춰 ▲흡습·속건을 통한 쾌적성 ▲보온성과 활동성 ▲방풍·방수·투습성 등 3단계로 나눠
착용할 것을 전문가들은 권한다.
기본적으로 흡습·속건을 통한 쾌적성을 보장해주는 이너웨어(기능성 의류) 소재는 주로 쿨맥스(Coolmax), 얇은 플리스(Micro Fleece)가
적당하다.
상황에 따라 내피나 점퍼와 같은 겉옷과 함께 착용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내피(보온 의류)는 이너웨어에서 배출된 땀이 빨리 마를 수 있도록 투습·속건 기능을 하는 동시에 보온과 활동성을 보장해주는
남방, 스웨터, 플리스 의류가 좋다.
요즘 같은 가을철에는 겉옷으로도 착용이 가능하다.
겉옷으로는 땀을 신속하게 배출할 뿐 아니라 외부의 비·바람으로부터 체온을 유지시켜주는 고어텍스 소재의 재킷류를 많이 사용한다.
극한 상황이나 악천후에서 신체를 보호하고 입체 패턴의 디자인으로 운동성과 편리성을 갖추고 있는지도 확인해야 한다.(101103)
'올라 보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험한 산길·종주땐 重등산화, 단기 산행땐 輕등산화 좋아 (0) | 2010.11.17 |
---|---|
최근에는 '트레일화'라는 새로운 장르의 신발도 선보였다. (0) | 2010.11.17 |
[토박이 산행] 파주 감악산 (0) | 2010.11.02 |
[토박이 산행] (14) 군위 아미산 (0) | 2010.11.02 |
[토박이 산행] (13) 담양 추월산 (0) | 201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