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바람을 맞기 위해 시동을 걸었다. 복잡한 서울을 빠져나가 시화공단을 지나면 11.2km의 바닷길이 펼쳐진다. 헤드 룸을 시원하게 열어젖힌 뉴 비틀 카브리올레를 타고 대부도로 향했다. |
대부도는 시흥의 오이도와 시화방조제로 연결되어 육지와 별반 다를 바 없는 섬이 되었다. 시원하게 뚫린 시화방조제를 지나면 오른편으로 방아머리선착장이 보인다. 덕적도, 자월도 등으로 떠나는 페리가 드나드는 작은 여객 항이지만 늘 분주한 곳이다.
파도를 막는 방파제 위로는 간이 횟집이 즐비하고 방파제 위에 걸터앉아 바닷바람을 맞으며 사랑을 속삭이는 연인과 망둥이잡이에 열중한 강태공의 모습이 평화로워 보인다. 소박한 간이 횟집은 바다 위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간재미, 숭어, 주꾸미 등의 값싼 횟감이 제철을 맞았다.
방아머리선착장에서 섬 안으로 들어서면 여전히 개발 중인 대부도의 부산한 모습을 볼 수 있다. 포장도로와 비포장도로가 번갈아 이어지는 미완성 도로와 작업 중임을 표시하는 가드레일이 눈에 거슬리지만 조금 더 안으로 들어가면 한적한 풍광이 모습을 드러낸다. 논밭 사이로 아기자기하게 자리 잡은 마을과 낮은 구릉 위로 가득한 포도밭 풍경이 이국적이다.
6월이 되면 최고의 당도를 자랑하는 포도가 주렁주렁 매달린다. 대부도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면 대부도산 포도로 만든 국내 유일의 와인이다. '그랑코토'라는 이름의 이 와인은 풋풋한 캠벨 포도 향이 매력적인 맛보기 힘든 와인이다.
누렇게 변한 갈대 숲 사이로 드문드문 눈에 띄는 물웅덩이가 외로운 상상을 하게 만드는 황톳길이 이어진다. 조개구이와 바지락칼국수 간판을 내건 음식점을 지나 액셀러레이터를 밟다 보면 탄도방조제 입구까지 갈 수 있다. 바로 옆에 있는 제부도처럼 이곳에서도 바다 갈라짐 현상이 나타난다.
물이 빠지면 누에를 닮아 '누에섬'으로 불리는 작은 섬으로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것. 썰물이 되면 나타나는 콘크리트 보도를 따라 '모세의 기적' 체험이 가능하다. 제부도가 자동차가 드나들기 좋도록 만들어져 운치가 없다면 이곳은 차량 출입이 통제돼 한적한 갯벌을 가까이 느낄 수 있다. 원한다면 갯벌로 들어갈 수도 있다.
지천에 널린 파래와 조개 등을 직접 채취하는 것도 좋은 추억이 된다. 탄도를 뒤로하고 방조제를 건너자마자 오른쪽으로 들어가면 나오는 전곡항에서 대부도 드라이브 여정을 마무리하자. 간이 횟집 몇 곳이 성업 중인데, 고깃배가 정박된 풍경 뒤로 바다를 붉게 물들이는 낙조를 바라보며 출출한 배를 저렴한 가격에 채울 수 있다.
>>대부도 내 드라이브 코스 3
대부도에 왔다면 바지락칼국수와 조개구이를 꼭 맛봐야 한다. 대부도에서 영흥도, 선재도, 제부도로 이어지는 도로 양옆에는 바지락칼국수와 조개구이를 함께 먹을 수 있는 곳이 즐비하다. 바지락칼국수는 1인분에 5,000원이고 조개구이는 3만원 선. 바지락을 듬뿍 넣어 끓여낸 바지락칼국수는 담백하고 진한 국물이 일품인데, 양이 많은 편이므로 사람 수에 비해 약간 부족한 듯 주문하는 것이 좋다. 방아머리선착장을 지나자마자 나오는 먹을거리촌의 1호 바지락손칼국수(032-882-8989), 탄도선착장 근처의 26호 까치할머니식당(032-886-0334)이 맛있다.
|
'가다 보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운대 (0) | 2008.02.11 |
---|---|
가평 용추구곡 (0) | 2008.02.11 |
실미도 처럼 영종도가 뜬다!! (0) | 2008.02.11 |
함양 상림 (0) | 2008.02.11 |
[스크랩] ‘된장 명소’ 5곳 (0) | 2008.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