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안경에 김이 서리지 않는 마스크?
일본사람들은 마스크를 많이 쓴다.
감기에 걸리면 상대에게 전염 등을 염려해서 스스로 마스크를 챙겨서 출근하기도 하지만,
봄마다 날리는 엄청난 꽃가루 알레르기 때문에 마스크를 엄청나게 소비한다.
나 또한 꽃가루 알레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마스크를 애용(?)하기도 했는데,
이 마스크라는 게 안경 쓴 사람에게는 쥐약이라는 거다.
숨을 내쉴 때마다 안경에 김이 서려서 뿌옇게 되니까
앉아서 그림을 그리거나 작업을 하는 사람은 쓸 물건이 못 된다.
그런데 출근시간에 전철에서 바로 이런 사람을 위한
'안경이 뿌옇게 되지 않는 마스크' 광고를 보았다.

<사진> 안경이 뿌옇게 되지 않는 마스크 / 이 '코 쿠션'이 빈 공간을 막아줍니다.
아예 '코에 다는 쿠션'을 직접 만져보도록 실물을 광고 안에 달아두었다.
![]() |
실제로 착용하면 이렇게 콧잔등에 끼움으로서 입김이 위로 올라오는 것을 막아준다.
이렇게 사소한 것이라도
일본인들은 생활에 필요한 것이라면
오밀조밀하게 개량을 해서 쓸 수 있도록 만든다는 점이다.
한달 후 '꽃가루 알레르기'가 미친듯이 흩날린다면 기억해두었다가 꼭 저런 마스크를 사야겠다.
2. 일본 마스크의 특징은?
* 1회용이 많다.
물론 천으로 된 것도 있으나, 1회용으로 한번 쓰고 버리는 식으로 만든 게 많다.
1회용의 역할은 처음 썼을 때 팽팽하게 마스크롤 귀쪽으로 당겨줌으로써 볼 양옆으로 꽃가루 침투를 막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스크를 썼다 벗었다 하는 등 어느 정도 느슨해지면 버리고 새것을 쓰면 된다.
* 입체형으로 꽃가루 침투 방지
꽃가루 침투를 막기 위해 호흡기 주변을 완전히 커버하려면 마스크를 입체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 |
* 고성능 필터로 바이러스 침투 방지, 5매입
1월 하순이지만, 2월 중순부터 꽃가루가 날리기 시작하면 마스크를 쓰는 일본인들도 그만큼 늘어난다.
나 또한 눈 한번 제대로 내리지 않는 도쿄의 밍숭밍숭한 겨울보다 생기가 도는 봄을 기다리는 편이지만 꽃가루만큼은 정말 사양하고 싶다.
이런 걱정을 벌써 하는 것 보니 봄이 가까이 오고 있긴 하는 모양이다.
(아직 설 연휴이긴 하나 -_-)
'(상품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걸은 거리를 택시비로 환산해 주는 등, 기발한 만보계들(당그니 일본표류기 (0) | 2010.12.13 |
---|---|
비 오는 날,수납이 간단한 우산(당그니 일본 표류기에서) (0) | 2010.12.13 |
초밥에서 영감을 얻은 디자인 상품 12개(당그니 일본 표류기에서) (0) | 2010.12.13 |
잼 있는 숙녀화 디자인(당그니 일본 표류기에서) (0) | 2010.12.13 |
日,나이를 알아 맞추는 장난감 등장(당그니 일본 표류기에서) (0) | 2010.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