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의 斷想
[21721]정부가 쌀 과잉 생산 문제를 해결하고, 밀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가루쌀’
ironcow6204
2023. 5. 15. 11:23
22일 충남 당진에 위치한 제분공장 사조동아원에 들어서자 제분 기계가 큰 소음을 내며 돌아가고 있었다.
평소였다면 밀이 들어 있어야 할 제분 기계에 쌀이 그득했다. 시간당 1.5t의 쌀이 갈리고 있었다.
정부가 쌀 과잉 생산 문제를 해결하고, 밀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가루쌀’이었다.
쌀가루 전용으로 개발한 신품종 쌀이다.
최용석 사조동아원 생산본부장은 “가루쌀은 기존 밀 제분 생산 라인에서 제분할 수 있는 점이 획기적”이라고 말했다.
가루쌀을 분쇄해 부서진 입자를 크기별로 분류하고, 체로 치는 과정이 이어졌다. 밀가루를 만드는 과정과 같았다.
<22일 충남 당진 사조동아원 제분 공장에서 신품종 가루쌀을 제분한 결과물.
가루쌀은 쌀을 물에 불리지 않는 건식 제분이 가능해 가공 비용이 대폭 절감된다>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은 작년 57kg로 10년 전인 2012년(70kg)보다 10kg 넘게 줄었다.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985년(128kg)부터 38년간 매년 줄고 있다.
반면, 작년 쌀 생산은 376만4000t으로 10년 전(400만6000t)보다 6%(24만2000t) 감소하는 데 그쳤다.
소비 감소보다 생산 감소 속도가 한참 더뎌 과잉 생산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정부는 밥 대신 빵이나 면으로 끼니를 때우는 사람이 늘자 가공에 적합한 쌀 품종을 개발하고, 재배를 장려하고 있다.
가루쌀을 재배하면 1헥타르당 100만원, 밀이나 목초 등 조사료까지 함께 심으면 최대 250만원을 지원하는 ‘전략작물직불제’도 지난 1월부터 본격 시행 중이다.
<22일 충남 당진 사조동아원 제분 공장에서 신품종인 '가루쌀'을 기존 밀 제분 라인을 활용해 제분하고 있다>